결혼을 성립하고 인정받기 위해선 법적인 절차가 필요하죠. 아래 글에서 결혼의 실질적-형식적인 성립요건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문구들이 딱딱해 보여도 쉽게 이해되는 내용이니 결혼을 준비하는 분들은 한 번씩 읽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처제와 결혼할 수 있나요? |
Q. 저는 3년 전 아내와 사별하고 어린 두 아이를 기르면서 혼자 살아가고 있습니다. 아내가 죽은 후 지금까지 처제가 저와 아이들을 극진히 보살펴 주고 있습니다. 지금 아이들은 처제를 엄마처럼 생각하면서 따르고 있고 저 역시 처제와의 결혼을 진지하게 생각해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현행법상 처제와의 결혼이 가능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
A. 처제는 사망한 아내와 2촌의 혈족인 인척에 해당합니다. 그런데 「민법」에 따르면 배우자의 6촌 이내의 혈족인 사람과는 결혼할 수 없습니다(「민법」 제809조제2항). 따라서 현행법상 처제와의 결혼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만일 결혼하게 되더라도 당사자, 그 직계존속 또는 4촌 이내의 방계혈족이 그 취소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민법」 제816조 및 제817조 참조). 다만, 당사자간에 혼인 중 이미 임신을 한 때는 그 취소를 청구할 수 없습니다(「민법」 제820조). |
배우자가 있는 사람이 다른 사람과 다시 결혼하는, 이른바 중혼은 인정되지 않습니다(「민법」 제810조).
만일 중혼을 하더라도 당사자 및 그 배우자, 직계혈속, 4촌 이내 방계혈족 또는 검사가 그 결혼의 취소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민법」 제818조). 이 중혼은 법률혼(즉, 혼인신고된 것)을 말하는 것으로서 혼인신고 없이 사실혼이나 첩 관계를 맺는 것은 중혼에 해당되지 않고 이혼원인이 될 뿐입니다(「민법」 제840조).
<함께 보면 좋은글>
결혼준비 언제부터 시작?
결혼준비 언제부터 시작해야 적당할까요? 각자의 상황에 따라다르겠지만 보통은 상견례를 하고 예식날짜가 나왔다면 웨딩홀섭외를 시작으로 여러 단계를 거치게 된답니다.상견례 이후 평균적
petitchals.tistory.com
상견례 자리배치,대화주제,선물,계산까지 어떻게 하나요?
결혼 준비 과정 중 제일 첫 번째 단계인 상견례자리 배치방법과 예절, 대화주제와 계산방법까지 대해 알려드릴게요. 양가 부모님과 형제자매들이 처음 만나는 자리라 어색하기도 하고 긴장되기
petitchals.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