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단비를 수표로 보내는 것이 바람직한가, 현금으로 보내는 것이 올바른 것인가? 많이 헷갈리고 궁금해하실 거예요. 예단비는 전체 금액을 수표 한 장으로 보내는 게 바람직합니다. 그렇게 해야 하는 이유는?
1.세어보지 않도록 한다.
예단비가 비록 돈이긴 하지만 귀한 예물입니다. 사람은 본능적으로 돈을 받으면 세어보게 되는데, 특히 빳빳한 새 돈은 손가락에 침 발라가면서 세어 봐야 됩니다. 만에 하나 예단비 받아서 며느리가 보는 앞에서 손가락에 침 발라가면서 세어 본다면... 별로 보기 좋지 않을 겁니다. 그리고 그렇게 세어보고 만 원짜리 한 장이 빈다면??? 마저 채우라고 해야 할까요? 그래서 세어보지 않아도 전체 금액이 얼만지를 한눈에 금방 알게끔 수표 한 장으로 만들어 주는 게 좋습니다.
2.남의 손에 바로 넘어가지 않도록 한다.
예단비는 예물이라고 했습니다. 그게 원래는 시부모의 복을 비는 뜻에서 드리는 현물인데... 돈으로 드리게 된 것이 예단비입니다. 그렇게 며느리가 시부모에게 드린 '복'을 그대로 남의 손에 넘겨 주면 그 복이 남의 손에 넘어가는 격이 됩니다. 수표 한 장으로 주면 꼼짝없이 은행에 예금을 하게 되고 그렇게 한번 은행에 들어간 수표는 다시는 남의 손에 넘어가지 않고 은행 금고 안에 계속 보관이 되는 겁니다. 시댁의 은행 계좌는 바로 시댁의 금고나 마찬가지입니다. 며느리가 보낸 예물인 그 수표는 시댁의 금고 속에 고이고이 간직이 되겠죠.
흔히 예단비 주면 얼마를 돌려받는다고 하지만 예단비는 돌려받아도 안되고 돌려받을 수도 없어요.
3.준 돈을 되돌려 받지 않도록 한다
신랑 쪽에서 며느리에게 주는 봉채비(꾸밈비)는 예단비를 돌려주는 것이 절대 아닙니다. 봉채비는 따로 마련하여 며느리에게 줘야 되는 것이죠. 예단비를 여러 장의 수표로 주면 아무 생각 없이 그중 몇 장을 며느리에게 봉채비로 줄 수도 있습니다.그걸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4.이상 3가지 이유만으로도 예단비를 수표 한 장으로 줘야 하는 이유가 되지 않을까요?
많은 분들이 예단비를 현금과 여러 장의 수표로 줘야 한다고 하시는 분들이 있으신데 그렇게 해야 하는 이유는 뭘까요? 시댁에서 사용하기 편하게 하기 위해서? 바로 위 이유 중 두 번째 항목에 위배가 되는 겁니다.
5.그럼 좀 많아 보이기 위해서?
그렇다면 전체 금액을 모두 만 원이나 오만 원권 현금으로 주는 게 좋겠죠? 시어머니뿐만 아니라 시댁 식구들 총동원하여 세어 보는 집도 있을 겁니다. 첫 번째 항목에 위배됩니다.
나무웨딩 박대표 010 4444 5438
참고하면 좋은글
2019/02/26 - 웨딩홀 계약취소시 계약금 환불?
2019/02/28 - 웨딩뷔페 지불보증 인원수 책정하기